yes 기프트카드 사용처
yes기프트카드 크마로 구입
카페에서 알게 된 크로스마일과 yes 기프트 카드 사용법!
사용 방법은 크마 발급 때부터 알았지만, 귀찮아서 선물할 때만 기프트카드를 사용해 보았는데
가계부를 쓰다 보니 사용해야할 것 같아서 yes 기프트카드를 구매해 보았다.
그나마 다행인 게 회사 근처에 하나은행이 있어서 매달 월초에 카드 구매할 때 불편하지는 않을 것 같다.
가계부를 쓰는데 나는 월 단위로 끊어서 1일 ~ 말일까지 용돈을 쓰고 싶은데, 월급날이 10일, 21일 이래서 1일 자부터 리셋이 불가능했다.
이게 월급 날짜가 1일이 아닌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밥값이나 생활비로 나가는 금액을 기프트 카드로 사용하면 효율적인 것 같다.
크로스마일 카드를 사용해서 50만원 yes 기프트카드 2장을 구입해서 60% 사용 후 환불을 받으면, 실사용 금액은 30만 원 + 30만 원 = 총 60만 원이 된다.
항공마일리지도 쌓이고, 사용하게 된 30만원 * 2 에 대해서는 현금영수증과 동일하게 소득공제가 가능해서 좋다.
체크카드 형식으로 용돈도 관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것 같다. (SMS로 잔액이 얼마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yes 기프트카드란?
- 카드형태 : 국내전용 상품권형 무기명 카드
- 종류 : 5만원, 10만원, 20만원, 30만원, 50만원 권
- 구매 가능 한도 : 1인당 월 100만원 (상품권 금액 포함)
- 유효기간 : 발행일로부터 5년
- 소득공제 신청 시 : KEB하나은행 영업점에서 구매 시 행원에게 등록 신청을 하거나 홈페이지에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소득공제 등록을 한 이후 사용된 내역만 소득공제 대상이 된다. 내가 2장을 구매하더라도, 남편이나 부모님 등으로 소득공제 대상을 신청할 수 있다고 한다. - 주의 : IC칩 겸용 포스기에 꽂아서 사용할 수 없다 (IC칩이 없음), 결제할 때 카드를 꽂거든 마그네틱으로 긁어서 결제해달라고 해야한다.
yes 기프트 카드 사용처
전국 신용카드 가맹점이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
온라인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하나카드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사용등록을 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안 되는 곳
- 전화승인, 무승인 직매입 가맹점(공중전화, 비행기 기내판매, 소액 무승인 주유소, 자동차 등)
- 외화 결제 가맹점(달러, 엔화, 유로 등 직구 시)
- 취소 시 수수료가 부과되는 가맹점 (영화, 철도, 고속버스 등)
- 자체 상품권을 발행하는 곳 :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현대아이파크몰, 이마트, 롯데마트, 빅마켓, 이마트 트레이더스, 홈플러스, 현대 아울렛, 가맹점 등)
- 기타 : 일부 미용실, 바르다 김선생, 일부 배달음식 등 안되는 가맹점도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곳
- 자영업 : 동네 슈퍼, 식당, 세탁소, 미용실 등등
- 하나카드 사이트에서 무기명 카드에 관련된 비밀번호를 지정한 후에 온라인 사이트에서도 사용 가능 하다.
- 대부분의 신용카드 가맹점인 교보문고, YES24 등 서점, 택시, 병원, 편의점 (씨유,GS25 등).
온라인 결제 시 하나카드에서 등록을 해야 한다."
yes 기프트 카드 구매 시 장점
- 크로스마일 카드로 구매 시 마일리지 적립이 되면서 카드 실적에 포함된다.
1,500원 당 1.8 크로스마일을 적립할 수 있는 이 카드는 1500단위로 절삭이 되는데 기프트카드를 50만원권 2개 구매 시 1200 마일이 적립된다.
이 카드 기준금액이 1,500원이기 때문에 1400원을 결제하면 0 마일이 적립되고, 2900원을 결제하면 절삭이 되어서 1.8마일이 적립되기 때문이다. - 기프트카드 사용 후 잔액이 60% 이상 소진이 되면 환불이 가능하다. 즉, 이말은 50만원짜리 구매 시 30만원을 사용하고 20만원에 대해서 현금 환불이 가능하다.
환불을 받을 때, 하나은행 계좌와 체크카드가 있다면 atm에서 가능하지만, 없다면 창구 방문을 해야한다. - 하나카드 홈페이지나 기프트카드 구매 시에 소득공제 등록이 가능해진다.
- 단점은 사용할 수 없는 곳도 있는데 이 곳들을 주로 사용한다면 스뜌핏한 소비가 될 수 있다.
- 또 다른 단점으로는 본인이 사용할 예산을 정해서 60% 사용을 정해야 하는데 그냥 다 써버릴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면, 가계부를 쓴다고 가정했을 때.
용돈을 20으로 잡으면, 30만 원짜리 상품권을 구매하고, 30만 원으로 잡으면 50만원으로 구입하면 된다.
10일에 월급이 들어오면 용돈 예산으로 잡은 30만원을 따로 빼놓는다. (안 그러면 다음달에 그대로 100만원을 결제해야함)
그리고 20만원 * 2개 를 환불받고 선결제를 진행하면 예산 관리하기가 편하다.
소득공제 적인 측면으로 봐도 장점이 많다.
- yes기프트카드를 신용카드로 구매를 한다 - 소득공제 신용카드 사용분으로 15% 가능하다.
- 기프트카드를 실제로 사용 - 사용금액에 대해 소득공제 최대 30%가 가능하다.
이 두 개의 방법이 모두 중복돼서 실적이 인정받을 수 있어서 연말정산 시 유리하다.
예를들면, 월 100만원을 사용하는 사람이, 기프트카드 100만원을 구입하고, 실제 사용은 60만원을 한다.
(100만원에 대한 40%인 40만원은 환불 가능하므로 실 사용금액 60만원.)
그렇지만 소득공제는 신용카드 사용 100만원 + 기프트카드 사용금액 60만원으로 160만원애 대해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월 200만원을 월급으로 받는 사람을 예를 들어 적용해보겠다.
소득공제 시 신용카드 사용금액(체카 포함)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에 가능한데, 200만원 급여에서 25% 초과하는 경우 3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 매달 50만 원을 체크카드로 사용한 케이스
200만원 중 25% 미만인 50만원을 사용하면 15%의 소득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500,000원 x 15% = 하면 7만 5천원이 공제가 됩니다.
- 월 100만원을 신용카드만 사용한 케이스.
신카는 15%만 공제가 돼서 체크카드보다 소득공제가 적게 됩니다. 그래서
100만원 x 15% 하게 되면 15만원이 연말정산에 공제가 됩니다.
- 기프트카드를 구매해서, 100만원을 사용하게 되는 케이스.
신용카드로 yes 기프트카드 구매 시에 50만원 x 2장 = 100만원이 사용돼서 이 중 15% 가 공제되면 15만원이 소득공제가 되고,
기프트카드로 실사용 금액은 60만 원에서 체크카드 공제 범위인 30%가 적용이 되면 18만원의 소독 공제가 되는겁니다.
실제로 체카 50만원을 사용하면 7만 원대의 공제가 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실 60만원 사용에 33만원 소득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
연말정산 기간도 얼마 남지 않는데 스마트하게 소비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참고로 크로스마일 카드와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 월 125만원 사용 시 1년 총 사용 금액 (1,500 만원)이 넘으면 보너스 마일리지를 주게 되는데,
기프트카드 100만원 + 25만원 을 사용하는 조합으로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신용카드 사용 시에 마일리지를 모으는 것이 목적인 사람은 조금 부지런하게 알아보고 이렇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글에 남긴 여러분의 의견은 개 입니다.